Dev/Java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2024.10.10오버로딩(Overloading)오버로딩은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다른 매개변수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하나의 클래스 내에서 메서드 이름은 동일하지만, 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을 다르게 하여 여러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오버로딩은 컴파일 시점에 결정된다. class Calculator { // 두 정수를 더하는 메서드 public int add(int a, int b) { return a + b; } // 세 정수를 더하는 메서드 (오버로딩) public int add(int a, int b, int c) { return a + b + c; } // 두 실수를 더하는 메서드 (오버로딩) public double add(doub..
상속 - 개념편
상속 - 개념편
2024.10.02시작하기에 앞서더보기해당 주제에 대해서 계속 블로그를 작성하고 싶었다.하지만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내용을 작성하면 안 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있다가다른 분의 블로그에서 "과거의 흔적을 보고 이불킥 한다는 건 내가 그만큼 성장했다는 증거다"라는 문장을 보고잘 몰라도 작성해 보기로 하였다. 상속은 아주 오래전부터 추상화, 다형성, 캡슐화와 같이 나에게 목에 걸린 가시 같은 느낌이었다개발을 본격적으로 해보지 않았고 주니어 개발자라는 말조차 부담스러운 나에게상속과 인터페이스를 몰라도 개발에 문제가 있던 적은 없다하지만 어느 강의든 자바의 기초에서 상속, 추상화, 다형성, 캡슐화는 무조건 다루고 있는 점을 미루어 보아객체지향을 다룸에 있어 필수적인 건 틀림없다이런 말도 들었다 상속, 추상화, 다형성, 캡슐화를 이해..
스타크래프트로 알아보는 객체지향(1편)
스타크래프트로 알아보는 객체지향(1편)
2024.09.25오브젝트, 클래스, 인스턴스등아니, 객체지향에 대해서 느낌은 알겠는데이해하고 있나 항상 어려웠다.그러다 게임 스타크래프트를 통한 객체지향에 대한 강의를 듣게 되었고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조금 더 나아간 듯하다상태와 행위- 상태란 보여지는 그자체 스타크래프트의 마린을 예로 들어보자. : 마린은 군인을 모티브로한 캐릭터이다 갑옷과 같은 옷을 입고있고 색상은 팀색상을따른다 레드, 블루등 키는 작은캐릭터 이지만 비율로 보았을때 2미터는 되어보인다 즉 이렇게 직접적으로 눈으로 보여지는 값? 수치? 들을 상태라 한다.- 행위란 무엇을 하는지이다.: 공격한다, 공격받다, 이동한다, 죽는다와 같이 마린이 무엇을 하는지가 행위가 된다클래스- 클래스란 마린의 설계도 이다. 마린의 상태와 행위를 코드화 시킨 설계도라고 ..
switch - 조건문 종류와 예시
switch - 조건문 종류와 예시
2024.09.05switch 문더보기switch(피연산자) { case(조건): (연산) } 형태로 많이 사용한다.switch 피연산자가 case 조건을 만족하면 case: 뒤에 명시되어 있는 연산을 수행한다.case(조건): (연산)은 여러개를 설정할 수 있다.각 case의 연산문 마지막에는 break;를 꼭 넣어줘야 한다.break;문은 해당 case의 연산이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어 switch문을 종료시킨다. (break를 사용하지 않으면 switch문 블럭이 끝날 때 까지 전부 실행된다.default:(연산)을 명시해주어 case조건이 모두 만족하지 않을 때 수행할 연산을 정해주어야 한다.(단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없다면 생략해도 된다.)// switch/case 문 int month = 8;Strin..
for - 반복문 종류와 예시
for - 반복문 종류와 예시
2024.09.04for 문더보기특정 조건에 따라 연산을 반복해서 수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문맥입니다.for( 초기값; 조건문; 증가연산) { (연산) } 형태로 사용합니다.반복할 때마다 값을 증가시키려면 증가연산(++)을 사용합니다.초기값이 조건문을 만족할 때까지 (연산)을 수행하면서 회차마다 증가연산을 수행합니다. // for 문for(int i=0; i 향상된 for 문더보기for 소괄호 안에 값이 3개나(초기값, 조건문, 증가연산) 들어가기 때문에 2개로 줄여주는 방법이 향상된 for문향상된 for문은 연속된 변수 목록을 출력할 때 쓰입니다.for( 변수타입 변수명 : 목록변수) { (연산) } 형태로 사용합니다.변수 타입과 변수명은 for문안에서 연산을 수행할 변수를 정의합니다.목록변수는 3,6,9,12,15 ..
if - 조건문 종류와 예시(feat. 가위바위보)
if - 조건문 종류와 예시(feat. 가위바위보)
2024.09.03if(조건)더보기특정 조건에 따라 다른 연산을 수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문맥입니다.기본적인 조건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if(조건){연산} 형태로 사용합니다.if의 소괄호 () 안의 조건이 boolean 값 true를 만족하면 중괄호 {} 안의 연산을 수행한다. boolean flag = true;if (flag) { System.out.println("flag 값은 true 입니다."); // flag 값은 true 입니다. 출력}if(조건) - else더보기if문 조건이 거짓일 경우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else{연산} 형태로 사용합니다.if의 소괄호() 안의 조건이 boolean 값 false를 만족하면 else if의 중괄호{} 안의 연산을 수행한다.// 조건문 with elseb..
코드 해석하기
코드 해석하기
2024.09.02해석 코드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public class Main 부분1. public : 접근 제어자 > 어디까지 접근하게 할 것 인가.(public = 공공의, 공통의 접근제어자)2. class : 객체를 만드는 클래스(음식을 담기위한 그릇)3. Main : 클래스의 이름(그릇의 이름)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부분1. public : 접근 제어자 > 어디까지 접근하게 할 것 인가.(public = 공공의, 공통의 접근제어자)2. static : Java 컴파일러가 바이트 코드로 변환할 때 미리 정의되는..